에코칼럼

노짱과 민주주의, 8일간의 이야기 이곳서?…민주공원에 노무현 전대통령 흔적이?

세미예 2009. 6. 17. 07:58

노짱과 노무현 대통령님, 노무현 전 대통령, 노 전 대통령…. 어떤 단어가 우리 가슴속에 남아 있습니까. 노짱의 영결식이 5월29일 치러졌습니다. 그 뜨겁던 추모열기는 어느덧 서서히 가라앉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노짱에 대해 거친 언변을 마구 토해냅니다. 정가에서조차도 노짱의 거룩한 정신을 당리당략으로 혹은 정쟁으로 치고 받습니다. 그러는 사이 노짱의 추모열기도, 그 분께서 우리들에게 주신 숙제도 서서이 익혀져 갑니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도 역사가 변해도 그 분이 남긴 흔적과 정신을 잊지 않는다면 비록 일부 사람들과 일부 언론의 엉뚱한 재평가 속에서도 그분은 영원히 우리곁에 살아 있을 것입니다.


그 분의 발자취가 그리워 그분을 만날 수 있는 곳을 다녀왔습니다.





노무현과 민주주의-그 8일간의 이야기

부산민주항쟁을 기념해 만든 기념관이 있습니다. 바로 부산민주공원입니다. 이곳은 그래서 민주주의 정신이 흘러 넘쳐나는 곳입니다.


이곳에서 노무현 대통령님을 기리는 기획 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오는 7월5일까지 계속될 이 ‘노무현과 민주주의-그 8일간의 이야기(Roh, Moohyun and democracy - that the story of eight days) ’ 기획전은 부산민주공원 기획전시실에서 열립니다.


작가는 2009년 5월23일 노짱께서 봉화마을 부엉이 바위에서 서거하신 그날부터 7일간의 국민장과 그 다음날까지를 기점으로 8일간 국민들에 의한 노짱과 민주주의에 대한 표현을 담았습니다.




작가의 눈에 비친 노무현과 민주주의

작가는 “자료를 준비하면서, 대다수의 국민들과 누리꾼들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을 한국 민주주의의 죽음과 동일시하는 것을 보았다”고 말합니다.


작가가 본 그들은 이 동일시되는 2가지의 죽음에 대한 애통과 분노 그리고, 자신들이 지키지 못한 미안함을 내보이기도 합니다. 추모와 혼재된 이 짧은 기간에 그들에겐 곧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어 졌고, 노무현이란 한 인간사를 중심으로 민주주의 담론을 각각 표출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작품으로 되살아난 노짱정신

노짱을 표현한 작가는 국민적인 참여 예술품들입니다. 이들 창작자들은 매우 짧은순간 드러낸 자신들의 감정과 생각의 표현들을 작품 속에 고스란히 담았습니다. 따라서 이들의 작품 세계는 보는 이로 하여금 더욱 생생하게 다가옵니다. 관람자들에게 전해오는 호소력 또한 너무나 생생합니다. 깊은 울림을 가진 전달력으로 우리에게 다가옵니다.





블로그가 작품 중심으로!

이번 기획전의 전시물들은 노짱의 서거 당일인 5월 23일부터 국민장 다음날인 5월 30일까지 블로그를 중심으로 “민주주의”란 단어 검색을 하여 일자 별로 채집한 것입니다.


작가는 블로그에 게재된 작품들이야말로 자신들의 자발적인 감정의 표출일 뿐 더러 대중의 밑바닥에서 분출하는 감정들의 모음들이라고 말합니다. 유명한 블로그도 있고 그렇지 못한 블로그도 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도 있고 다음과 네이버 사이월드 블로그들이 골고루 망라돼 있습니다.



8일간 종이신문 1면도 작품으로

8일 동안의 대표적인 국내 종이신문의 1면을 모아 작품화시켰습니다. 그리고 현장에서 실제 쓰이기도 했던 시각물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사진들과 8일간 우리 국민들이 추모하면서 남겼던 글들도 있습니다. 한마디로 추모열기가 오롯한 곳입니다.





노짱의 흔적과 작가의 열정이 서려 있는 곳

노짱의 서거로 갑작스럽게 닥친 공동체의 슬픔 앞에 우리는 ‘노무현’과 ‘민주주의’란 화두로 온 국민이 비극을 경험했습니다.


그리고 그 비극은 오늘날 우리에게 심오한 질문을 던집니다. 어떻게 살 것이냐고. 그 분이 남긴 과제를 어떻게 이어갈 것이냐고. 어떠세요. ‘노무현’이란 단어가 지금 현재는 어떤 느낌으로 와 닿습니까. 한때의 슬픔인가요, 아니면 시대를 극복하고 새로운 세계로 나아갈 조타수인가요?





노짱의 정신을 되새겨 보는 하루로

노짱은 지역주의의 희생자였습니다. 그렇게나 심한 지역주의 구도 속에서도 묵묵히 소신을 지켰고 평생 국민만 바라보고 한길로만 달려갔습니다. 그 중심엔 국민이 있었고 서민이 있었고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이를 생각하고 앞으로만 달려 갔습니다. 이런 정신이 오늘 절실히 필요해 보입니다. 오늘 하루는 이런 생각을 곰곰이 해 보시는 하루가 되셨으면 합니다.